반응형

공부/TCP IP 8

[ TCP/IP ] 라우팅

라우팅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서 패킷은 여러개의 라우터를 경유하여 수신처에 도달한다. 이 때 라우터가 수신처까지의 경로 결정을 라우팅이라고 한다. 라우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라우팅 테이블이라는 정보를 갖고있다. 회수한 패킷의 수신 IP주소를 보고 라우팅 테이블을 참고로 다음에 어떤 라우터에게 전송할지 결정한다. 라우팅 테이블에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다. 수신 네트워크 : 최종 네트워크의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가 들어간다. 다음 홉 주소 : 다음 라우터의 IP주소와 서브넷 마스크가 들어간다. 매트릭 : 경로의 최적도를 나탄는 수치가 들어간다. 값이 적을수록 뛰어난 경로라는 의미이다. 출력 인터페이스 : 다음 전송처에서 데이터링크 층의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할지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링크 정보가 들어간..

공부/TCP IP 2023.02.27

[ TCP/IP ] 데이터링크층과 물리층

데이터링크층 기기들을 연결하는데에는 몇가지 방법이 있다. 이 중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된 한 덩어리의 기기를 데이터링크라고 한다. 데이터링크층은 데이터링크간의 차이를 흡수하여 네트워크층 이상의 층들이 차이를 의식하지 못하게 한다. 데이터링크층에서는 데이터에 헤더를 붙인 것을 프레임이라고 한다. 프레임은 보통 비트열로 구성되어있다. 데이터링크의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어덯게 주고받을지 결정한다. 기기를 식별할 필요가 있을 때는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를 사용한다. 물리층 데이터링크 안에서 신호가 흐르고 있는 부분을 물리층이라고 한다. 여기서 비트열이 신호로 변환된다. 물리층은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링크층의 일부라고 생각하거나 TCP/IP계층에 포함시키지 않기도한다. 데이터링크 데..

공부/TCP IP 2023.02.23

[ TCP/IP ] 네트워크층

네트워크층 네트워크층은 다른 층과 달리 주된 프로토콜이 IP 하나밖에 없다. 네트워크는 통신방법의 차이를 흡수하는 기능이 있다. 가장 중요한 임무는 누가 누구에게 전달할지와 어떤 경로로 데이터를 전달할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IP 프로토콜 송신측에서는 IP주소 등을 기록한 IP주소 등을 기록한 IP헤더를 붙여 IP데이터그램을 만들어 데이터링크층에 전달한다. 만약 데이터링크층에서 다룰 수 있는 크기보다 크다면 분할한 후 헤더를 붙인다. IP데이터 전송은 Best Effort 방식이다. 헤더가 깨지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수신처의 주소가 존재하는지 정도는 판단하지만 재전송 처리는 하지 않는 방식이다. 송신처에서 IP프로토콜은 수신처까지의 경로와 통신상태를 보고 최적의 경로는 판단하여 전송한다. 수신처에서는 IP..

공부/TCP IP 2023.02.14

[ TCP/IP ] 트랜스포트층

트랜스포트층 트랜스포트층은 애플리케이션층과 네트워크칭의 중개역할을한다. 데이터가 전달되다가 문제가 발생하게되면 트랜스포트층은 통신 서비스에 맞는방식으로 문제를 처리한다. 트랜스포트층에는 신뢰를 중요시하는 TCP와 속도를 중요시하는 UDP가 존재한다. TCP는 그래서 확실히 상대에게 데이터를 제공하고싶을 때 사용하고, UDP는 실패해도 크게 상관없을 때 사용한다. 포트 번호 포트번호는 0~65535번까지 있다. 그 중에서도 0~1023번까지는 통신 서비스마다 미리 예약되어있고 그 외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때 통신하는 컴퓨터 간에 어떤 포트번호를 사용할지에 대한 인식이 통일되어있어야한다. TCP 프로토콜 TCP는 데이터를 확실히 전달하기 위해 수신측과 일 대 일로 통신한다. 이런 통..

공부/TCP IP 2023.02.13

[ TCP/IP ] 애플리케이션층

애플리케이션층 애플리케이션 픙은 TCP/IP의 5계층 중에서 가장 위에 위치한다. 컴퓨터끼리 주고받는 것들은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 통신서비스로 만드는 역할을한다. 애플리케이션층에서는 통신서비스를 실현하기 때문에 송수신측이라는 말보다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개념을 갖는다. 어플리케이션층에서의 프로토콜은 어떻게 하면 효율적일까를 고려하여 만들어졌다. 에플리케이션 헤더 에플리케이션 층에서 추가되는 헤더를 애플리케이션 헤더라고 한다. 여기에는 '요청과 응답'에 관한 정보가 들어있다. 아래층으로 가면 데이터가 하나로 묶여버리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층끼리만 해석할 수 있다. 프로토콜에 따라 텍스트 기반(영어, 숫자)으로 작성되기도 하고, 바이너리 기반으로 작성되기도 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서비스를 요청할 때는 ..

공부/TCP IP 2023.02.11

[ TCP/IP ] 통신 서비스와 프로토콜

서버와 클라이언트 서비스를 제공하는 측을 서버, 서비스를 받는 측을 클라이언트라고한다. 이 둘이 통신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클라이언트가 받고싶은 서비스를 주문한다. 서비스를 담당하는 서버에게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전달한다. 클라이언트의 주문대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URL 네트워크 상에 있는 특정 데이터 등을 표시할 때 사용하는 것이 URL이다. URL은 스킴명, 도메인, 포트번호(생략가능), 경로, 파일명으로 이루어져있다. 스킴명은 아래과 같은 종류가 있다. http - WWW 웹서비스 ftp - 파일전송 mailto - 전자메일 telnet - 원격 로그인 URL안의 도메인을 좀더 알아보자. 도메인은 ccTLD와 gTLD 두가지 종류가 있다. ccTLD는 서버명, 조직명, 조직속성, 국가코드로 이루어..

공부/TCP IP 2023.02.09

[ TCP/IP ] TCP/IP 개요

통신 프로토콜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떄는 기종이나 통신방식과 같은 차이가 문제가 된다. 따라서 송신측과 수신측은 정해진 매뉴얼에 따라 보내야한다. 이 매뉴얼을 프로토콜이라고한다. TCP/IP 만약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통신 프로토콜이 있다면 아주 편할 것이다. 그래서 현재 전 세계 공통 통신 프로토콜로 채택된 것이 TCP/IP이다. 데이터를 주고받는데는 여러개의 프로토콜이 필요하기 때문에 TCP/IP에는 여러 프로토콜이 들어있다. 5계층 TCP/IP에서는 송수신과 관련된 작업들을 몇 개의 단계로 나눠서 수행한다. 이 단계를 layer, 층 이라고 한다. 계층이 나뉘면 각 계층은 독립적으로 자신의 할일만 하면된다. 각 층에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애플리케이션 층 : HTTP, SMTP, T..

공부/TCP IP 2023.02.06

[ TCP/IP ] TCP/IP의 기본

1. 컴퓨터 네트워크 네트워크란 '망'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는데 실제로는 '어떤 자산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상태' 이다. 컴퓨터끼리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다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즉,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끼리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소받을 수 있는 상태로 되어있는 것을 말한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규모에 따라 아래와같이 나뉜다. LAN(local area network) : '랜'이라고 읽고 기업과 같이 비교적 좁은 공간에 있는 기기끼리 연결한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WAN(wide area vetwork) : '완'이라고 읽고 회사의 지점 간 지리적으로 떨어진 장소에 있는 기기를 연결한 대규모의 네트워크를 말한다. 인터넷 : 여러개의 LAN이나 WAN을 연결한 전 세계 규모의 네트워크이다. 지..

공부/TCP IP 2023.01.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