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신 프로토콜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떄는 기종이나 통신방식과 같은 차이가 문제가 된다.
따라서 송신측과 수신측은 정해진 매뉴얼에 따라 보내야한다.
이 매뉴얼을 프로토콜이라고한다.
TCP/IP
만약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통신 프로토콜이 있다면 아주 편할 것이다.
그래서 현재 전 세계 공통 통신 프로토콜로 채택된 것이 TCP/IP이다.
데이터를 주고받는데는 여러개의 프로토콜이 필요하기 때문에 TCP/IP에는 여러 프로토콜이 들어있다.
5계층
TCP/IP에서는 송수신과 관련된 작업들을 몇 개의 단계로 나눠서 수행한다.
이 단계를 layer, 층 이라고 한다.
계층이 나뉘면 각 계층은 독립적으로 자신의 할일만 하면된다.
각 층에는 다양한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 애플리케이션 층 : HTTP, SMTP, TELNET, NNTP, RCP ...
- 트랜스포트 층 : TCP, TDP
- 네트워크 층 : IP
- 데이터 링크 층 : Ethernet, FDDI, ATM, PPP...
- 물리 층
보통 TCP/IP라고 하면 5개의 계층 모두를 말하지만, 프로토콜의 이름을 말하는 경우도 있으니 조심해야한다.
무엇을 할 건지에 따라에 맞는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송신할때는 1에서 5까지의 과정을 거치고 수신할 때는 반대로 5에서 1까지의 과정을 거친다.
계층간 연락 방법
송신측에서의 각 계층은 수신측에서 동일한 계층에서 필요한 정보는 공통된 서식으로 데이터에 추가한다.
여기서 앞에 추가된 정보를 헤더, 뒤에 추가된 정보를 트레일러라고 한다.
한 계층에서 정보가 추가되면 다음 계층에서는 그 정보까지 데이터로 인식하기 때문에 정보를 읽을 수 없다.
이렇게 정보화 데이터를 하나로 묶어서 다루는 것을 캡슐화라고한다.
데이터 송수신
데이터는 계층별로 아래 표와 같이 행동한다.
송신 | 수신 | ||
↓ 애플리케이션층 | 필요한 정보를 써넣는다. | ↑ 애플리케이션층 | 지정된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한다. |
↓ 트랜스포트층 |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번호와 데이터 조합을 위한 정보를 써넣는다. 데이터를 분할하여 패킷으로 만든다. | ↑ 트랜스포트층 | 헤더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다시 순서대로 나열해서 조합한다. |
↓ 네트워크층 | 송수신할 컴퓨터의 주소와 불명일 경우 데이터를 파손하라는 표시를 써넣는다. | ↑ 네트워크층 | 헤더에 맞는 수신처가 맞는지 확인하고 지정된 프로토콜에서 전달한다. |
↓ 데이터 링크층 | 네트워크의 종류에 맞춘 형식으로 보낼 곳의 정보 등을 써넣고 비트열로 전환 | ↑ 데이터 링크층 | 헤더에 적힌 정보를 확인하고 지정된 프로토콜에게 전달한다 |
↓ 물리층 | 비트열을 신호로 변환 | ↑ 물리층 |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 |
반응형
'공부 > TCP 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CP/IP ] 네트워크층 (0) | 2023.02.14 |
---|---|
[ TCP/IP ] 트랜스포트층 (0) | 2023.02.13 |
[ TCP/IP ] 애플리케이션층 (0) | 2023.02.11 |
[ TCP/IP ] 통신 서비스와 프로토콜 (0) | 2023.02.09 |
[ TCP/IP ] TCP/IP의 기본 (1) | 2023.01.30 |